돈적리

List

원인

돼지의 장관 전염병으로서 대장의 염증과 혈액성 하리가 특징이며 vibrionic dysentery, bloody scours, bloody dysentery, black scours 또는 mucohemorrhagic diarrhea로 불려 지기도하는 질병으로서 한번 감염되면 상재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발육지연, 사료효율저하 등 생산성저하 질병으로 중요하다. 원인체는 3~4회 꼬인 나선형의 스피로헤타 세균인 Serpulina hyodysenteriae이고, 이 균은 그람음성인 혐기성균이며, 길이가 6~8.5m, 직경이 320~380㎚이고 운동성이 있고, 혈액한천 배지상에서 강한 용혈성을 볼 수가 있다. 항원성으로 보아 9가지 혈청형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A 및 E 혈청형이 유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돼지에 전염하는 주요 경로는 이병에 감염한 돼지의 설사 분변이나, 보균하고 있는 돼지의 분변에 오염된 사료나 물 등을 섭취하였을 경우이며 농장간에는 보균돼지의 입식이나 사육자의 이동, 감염 돈사의 하수구나 돈사에 출입하는 개 또는 쥐가 이 균을 매개한다고 추정하고 있고, 또한 파리도 균을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가 있다. 한편 수도물에 10배 희석한 설사분변 중의 적리균은 5℃에서 61일간 생존되고 또한 25℃에서는 7일간 생존이 가능하며, S.hyodysenteriae는 혐기성 세균인데도 불구하고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증상

가. 증 상 돼지 적리균에 감염하게 되면 2~10주간의 잠복기를 거쳐 결장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결장 흡수 불량 현상을 일으키므로써 식염성분이나 세포외액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설사를 일으킨다. 돼지적리는 점액 및 혈액성의 출혈성 설사가 특징이며, 대부분의 돼지에 있어서 처음에 황색 또는 회색의 연변을 배설하고 그중에는 식욕감퇴를 일으키고, 직장내 온도는 40~40.5℃로 상승된다. 증상이 진행되면 많은 량의 점액을 배설하고 분변은 혈액이 섞어져 있고 경과되면서 혈액, 점액 또는 백색의 점액 섬유소성 삼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변을 배설한다. 돼지는 등을 꾸부리고 가끔 복통을 느끼며, 설사가 지속되면 식욕이 감퇴되고 탈수로 심한 체중감소를 일으킨다. 포유돈은 일반적으로 발병되지 않으나 예외적으로 출혈을 동반하지 않은 카탈성 장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돼지적리로 폐사된 돼지의 피모는 거칠고 분변이 묻어 있으며, 병변은 대장에서만 국한되어 있다. 급성기의 전형적인 병변은 대장벽이나 장관막에 충혈 및 수종이 형성되고, 장간막임파절에 종창이 나타난다. 대장은 이완되고 장막의 수종으로 표면층은 광택을 잃고 충혈 또는 검게된다. 장내용물은 수양성이고 악취가 있고 점액, 소화되지 않은 내용물 또는 괴사 조직편이 있어 갈색이나 적색을 띈다. 점막은 조기에는 종창과 충혈이 있으나 후기에는 혈액을 함유한 점액으로 덮어지게 되며 만성의 경우는 점막이 괴사상태로 변한다. 병변은 맹장이나 결장에 주로 나타나고, 점막이나 점막하 조직이 명확하게 비후되며, 또 대장내면 상피에 많은 양의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는 점액이나 세포성의 덩어리가 축적되어 있다. 점막표층의 괴사는 광범위하나 심한 궤양은 돈적리의 전형적인 병변이다. 나. 진 단 이 질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특징적인 임상증상으로 혈액이나 점액을 함유한 출혈성 설사를 관찰할 수 있으며, 돼지는 등을 꾸부리고 가끔 복통을 느끼며, 설사가 지속되면 식욕이 감퇴되고 탈수로 심한 체중감소를 일으킨다. 폐사한 돼지의 해부에 의한 육안병변은 대장에만 병변이 국한되어 있고, 표재성의 궤양을 수반하는 염증이 특징이다. 혈청학적인 진단법으로서는 현재 응집반응, 간접형광항체법 및 효소항체법등이 있으나 현재까지 특이성이 낮아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돼지 적리의 확진은 결장 점막이나 분변으로 부터 원인균의 분리 확인이며, 설사재료를 선택배지에 이식하여 혐기성 조건에서 1주일간 배양(37~42℃)하여 균의 형태나 생화학적 검사로 균이 S. hyodysenteriae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중합효소연쇄반응 진단은 설사분변으로 부터 돼지 적리균만을 특이적으로 수십만 배 증폭하여 검출하는 기법으로 진단 특이성이 높고, 아주 미량의 균이 감염되어 있어도 검출할 수 있으며, 진단 시간에 있어서도 기존의 균분리는 1주일 이상이 소요되지만 개발 진단법은 5시간이내에 균 검출이 가능하여 최근에 널리 소개되고 있는 진단법이다

예방 및 치료

치료목적의 약제투여는 음수에 의한 투여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왜냐하면 발병돈은 일반적으로 식욕이 감퇴되기 때문에 사료첨가 약제투여는 필요한 양의 급여가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적용 되고 있는 치료용 약제들은 카바톡스, 티아뮤린, 린코마이신 등이 있으며 그중 약제에 따라 내성주의 출현이 보고되고 있다. 그 외에도 많은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질병의 특징이 한번 발생한 농장의 돼지는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회복된 경우도 균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격리사육하면서 완전히 치료하고, 오염된 돈사는 철저히 소독해야 하며, 다른 돈군에도 예방적으로 동시 투약하여 근절시켜야 한다. 또한 이 병의 예방을 위한 유효한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무엇보다도 질병의 농장내 도입을 막아야 한다. 이 병에 오염되어 있지 않은 농장에 처음 감염은 보균 돼지의 입식으로 인하여 감염 발병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입식된 돼지는 적어도 3주일간은 격리사육하면서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또한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검사한 후 합사해야 한다. 그리고 출입자의 신발이나 사양기구 또는 자동차 바퀴에 묻은 분변에 의하여 전파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람이나 자동차의 농장 출입을 통제하여야 하며, 사양조건에 있어서는 밀사를 피하고 청정하고 건조한 상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이병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관련제품

최근 본 제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