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콜레라

List

원인

가금콜레라(Fowl Cholera)는 야생조류(특히 물에 사는 새), 닭 및 집오리 등에 감염되어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고, 심장 및 근위 출혈, 간에 다발성 괴사반점 등의 육안적인 병변을 보이는 2종 가축 전염병이다. 원인체(세균)은 Pasteurella multocida 이며, 캡슐(Capsule)이 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데 캡슐의 형태에 따라 혈청그룹(Capsular serogroups)은 A, B, D, E, F 5종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균체항원(Somatic antigen)의 혈청형은 16종이 있어 숙주특이성이 높은 세균이다. 조류에서는 E 형을 제외한 나머지 A, B, D, F 4 개 혈청형이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A와 D의 혈청형이 야생오리 및 가금류에 감염되어 높은 폐사율을 보인다. 많은 야생조류 중에서 오리류(가창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등)가 가금콜레라에 감수성이 가장 높아 아주 쉽게 감염된다. 닭의 경우 가금콜레라에 감염되면 급성 또는 만성의 임상증상을 나타내는데, 보통 폐사율은 0~20% 수준이다.

증상

닭이 가금콜레라에 감염되면 임상증상과 육안적소견이 매우 상이한 급성 또는 만성의 경과를 취한다. 현재까지 국내 양계농가에서의 가금콜레라 발생은 없지만, 가금콜레라의 주요 임상증상을 숙지하고 있다가 질병이 의심스러우면 즉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위에 기술된 봐와 같이 가금콜레라의 전파는 대부분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가 가장 중요한 질병확산의 방법이며, 일반 세균성질병의 경우와 같이 분변에 의한 질병전파는 매우 낮은 편이다. 따라서 양계장에서 사육시설에 따른 질병의 발현양상이나 임상증상이 판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평사에서 사육되는 육용종계나 육계의 경우 계사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닭들 간에 접촉이 쉽기 때문에 가금 콜레라가 발생되면 질병확산이 빠르게 진행되어 높은 발병율과 급성의 임상증상을 취하기 쉽다. 그러나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닭(특히 산란계)의 경우 접촉 및 이동이 매우 제한됨으로써 가금콜레라에 의한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 급성 (1) 임상증상 ○ 심한 침울과 쇠약 ○ 움직임을 싫어함 ○ 깃털불량 ○ 구강 및 비강내 점액성 삼출물 분비 ○ 육수와 벼슬에 청색증 ○ 수양성 설사 (2) 부검소견 ○ 내부장기(심장, 폐, 복강 내 지방, 장)에 점상출혈 ○ 간에 다발성 괴사반점 ○ 난포파열 및 충출혈 나. 만성 (1) 임상증상 ○ 종창된 육수 ○ 화농성관절염 ○ 결막염과 호흡곤란 ○ 지속적인 산란율저하 (2) 부검소견 ○ 안면부종 ○ 섬유소성 복막염

예방 및 치료

가금콜레라 예방을 위한 양계농가의 조치사항은 농장내 야생조류의 접근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고 양계장내ㆍ외부인과 차량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농장내ㆍ외부에 주기적인 소독을 실시해야한다. 산란중인 성계가 더욱 감수성이 높으므로 성계와 병아리는 따로 분리 사육하며 닭보다 오리가 가금콜레라균에 감수성이 높아 최고 50%까지 폐사가 나올 수 있으므로 물이 있는 웅덩이나 호수에 방사를 하지 말고 실내에서만 사육해야한다. 또한 가금류를 사육하는 축주는 물이 있는 호숫가나 바닷가의 왕래를 삼가야한다. 원인균인 Pastuerella multocida 모든 소독약제(알데히드제, 포르말린제, 염기제 등)에 쉽게 죽기 때문에 일반 소독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질병은 제 2종 법정전염병이기 때문에 본 질병이 발생된 농장은 철저한 방역조치와 함께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주요 증상 및 부검소견이 대장균증 등 다른 질병과 감별이 어렵기 때문에 관할 가축방역 기관이나 수의과학검역원 등에 의뢰하여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관련제품

최근 본 제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