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성 후두기관염

List

원인

전염성 후두기관염(infectious laryngotracheitis, ILT)은 주로 닭에 감염되며 바이러스가 원인체인 전염성 질병이다. 칠면조, 오리, 거위, 메추리 등 다른 가금류에서는 발병하지 않으나 이들에 의하여 질병은 전파될 수 있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는 입술에 구진이나 수포를 형성하는 사람의 허피스 심프렉스(herpes simplex) 바이러스와 소, 말, 고양이 등에 감염되는 허피스 바이러스와 함께 분류상 알파 허피스 바이러스(alphaherpesvirus)에 속한다. 알파-허피스 바이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잠복감염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체에 감염되면 임상증상이 나타나고 항체가 형성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병증은 완화되어 회복된다. 그러나 허피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회복된 후에도 바이러스는 특정 조직에 감염된 상태, 즉 잠복감염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잠복감염이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으나 임상증상은 없고 바이러스도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는 뇌에 있는 삼차신경절에서 잠복감염 상태로 존재한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회복된 닭은 80% 이상이 이와 같은 잠복감염된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잠복감염 상태에 있는 바이러스의 재활성에 있다. 재활성이라는 것은 숨어 있는 바이러스, 다시 말하면 잠복감염 상태에 있는 바이러스가 깨어나서 뇌의 삼차신경절에서 신경을 따라 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기관으로 배출된 바이러스는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증상

닭에 발병하는 여러 종류의 질병 중에서 전염성 후두기관염은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 가) 전파는 느린 편이나 감염된 계군은 심한 호흡기 증상과 폐사를 일으킬 수 있다. 나) 산란계에서는 폐사와 산란율 저하로 경제적 손실을 입는다. 다) 치료법이 없다. 라) 회복된 닭은 보균계로 남는다. 마) 가장 중요한 점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닭 질병이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은 대부분 2주일 이내에 증상을 보인다. 주요 임상증상은 눈과 코에서 삼출물이 나오고 걸걸거리는 호흡기음, 재채기, 기침 등이다. 증상이 심할 때에는 목을 쭉 뽑고 깊게 숨을 쉬며 피가 섞인 삼출물을 토하기도 한다. 흔하지는 않으나 피가 섞인 삼출물이 케이지에 묻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감염율은 100%이며 폐사율은 5-30%이다. 닭은 발병 후 2주 이내에 회복되어 임상증상은 나타내지 않으나 장기간 바이러스가 감염된 상태로 있어 질병을 전파할 위험이 있다.

예방 및 치료

전염성 후두기관염 예방에는 생독백신이 사용되고 있다. 백신의 역사를 설명하자면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은 다른 종류의 허피스 바이러스 보다 백신이 일찍 개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백신은 193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개발 초기에는 병원성이 있는 바이러스를 총배설강(항문주위)에 접종하였다. 이후 순화되어 병원성이 감소된 백신주가 개발되었고 비강 또는 음수 접종으로 면역이 형성된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점안접종이 가장 우수한 면역을 형성한다. 현재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은 순화된 바이러스를 이용한 점안접종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는 전염성 기관지염(IB) 바이러스와 달리 하나의 혈청형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단일 혈청형이므로 국내에서 유행하는 전염성 후두기관염 바이러스는 어느 백신을 사용하여도 면역이 형성되어 방어가 된다. 문제는 백신 접종 후에 나타나는 접종반응이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은 자연발생적으로 병원성이 약하여 뉴캐슬병 백신주`로 이용되는 B1이나 라소타(La Sota)주와는 달리 야외 발생 예에서 분리된 병원성이 높은 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병원성을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병원성을 약화시켜 생산된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도 엄격히 말하여 병원성이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생독백신 접종 후에 관찰되는 접종반응은 계군의 위생상태를 말하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환기와 온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육환경이 쾌적한 농장과 수동으로 환기를 조절하는 농장에서 사육되는 닭에 동일한 백신을 접종한 경우 나타나는 접종반응은 그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환기불량, 밀집사육 등 사육환경이 불량하면 기관이 손상을 받아 호흡기 질병에 감염되기 쉽고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의 접종반응도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계군이 세망내피증 바이러스나 전염성 F낭병 바이러스 등 면역억제를 일으키는 병인체에 감염되면 면역계가 파괴되어 면역기능 저하로 다른 질병에 노출되면 저항력이 없어 쉽게 발병한다. 이러한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에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을 접종하면 정상적인 면역반응을 나타내지도 못하고 백신접종반응도 심하게 나타난다. 이외에도 마이코플라스마에 감염되었을 경우에도 백신접종후 심한 접종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전염성 후두기관염은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병중 하나이다. 그러나 백신을 접종하였다고 질병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백신을 접종하였는가에 있다. 전염성 후두기관염 백신은 희석액에 혼합한 다음 한 방울(30㎕ 정도)을 눈에 떨어뜨린다. 백신 희석한 병은 대부분 1,000수 분량이다. 백신 접종시 유의하여야 할 점은 바이러스가 열에 약하여 쉽게 죽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하는 사람에 의하여 백신 접종액의 온도가 체온이 의하여 상승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계사내 온도가 높으므로 나머지 백신은 얼음 팩에 넣어두어 바이러스의 역가가 감소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관련제품

최근 본 제품

TOP